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로페셔널 스튜던트- 김용섭

by TRX류쌤 2023. 2. 5.
728x90
반응형

얼마전 읽은 라이프트렌드 저자 김용섭님의 프로페셔널 스튜던트
#추천드립니다 #프로페셔널스튜던트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사람들의 생존코드
결국 살아남을 사람은 프로페셔널 워커이면서 동시에 프로페셔널 스튜던트인 사람이다.
자신을 성장시키며 스스로의 가치를 계속 높여가는 이들의 새로운 이름이다.


하~~~직업이 학생이 되어야 한다. ㅎㅎ
롱런 Long run 하려면 롱런 Long Learn 해야한다.
변화를 인식하는 순간, 미래를 감지하는 순간, 우리는 본능적으로 공부와 교육을 찾는다.
지금껏 해왔던 교육들이 과거 버전이고 , 변화 속에서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기 때문이다.
살아가며 평생 공부와 떨어질수 없는 게 우리 인생이다. 특히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더욱더 그러하다.
뉴노멀 New Normal ,과거의 익숙하던 것들이 사라지고,어제의 정답이 오답이 되기도 하고,새로운 기술, 새로운 산업, 새로운 문화가 우리 일상을 바꾸는 시대이기 태문이다. 뉴노멀 시대에 적응하고 살아남으려면 우린 새로운 공부를 계속 해야 하는 것이다.


《Part 1. 진짜 위기의 시작! 실력자만 살아남는다.》

팬데믹을 계기로 변화한 수많은 것들이 경쟁력 없는 개인들에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것이다.
결코 세상은 공평하지 않다. 기회도 각자 다르게 주어지고, 능력도 각자 다르다. 현실은 현실이다.
현실을 간과한 채 이상만 바란다고 세상이 달라지지 않는다.
세상이 빨리 바뀌면 개인으로선 기회보다 위기가 더 많다.

2030년 까지 한국은 일자리의 25%가 자동화로 대체 예상

오늘보다 내일이 더 나으리란 희망이 있어야 사람들은 노력도 하고, 꿈도 꾼다. 결국 세상이 우리의 미래를 불안하게 만들기 때문에 믿을 건 자기 자신뿐이다.
더 외롭고 치열한 자기 진화를 준비할 수밖에 없다.



돈이 충분치 않다면 결국 믿을 건 실력뿐이고, 그 방법은 공부뿐이다.
"100세까지 꾸준히 배우고 일할 각오로 인생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면 노년은 '선물'이 아니라 고독과 빈곤 속 '저주'가 될 수 있다.



《Part 2  프로페셔널  스튜던트에게 대학이란?》
"한국 학생들은 하루에 15시간 학교와 학원에서 열심히 공부하는데, 미래에 필요치 않을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앨빈 토플러" (우리 조카들 ㅜㅜ)
<공부하지 않는 부모가 변화도 모른 채, 관성에 따라 자식의 미래에 관여하는 게 제일 위험하다.>

☆21세기 핵심 역량 4C
Creativity 창의력, Communication 의사소통,
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 Collaboration 협업
기계가 아닌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역량인 판단력,창의력을 키우고,인성과 품성,인문과 교양을 쌓는 것이 교육의 새로운 방향일 수밖에 없다.

요즘은 교육을 잘 받아도 5년이면 오래된 지식이 돼버린다. 나가서 뭘 배울지 찾을 수 있는 법부터 배워야 한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뭘 알아야 하는지 파악하는 법을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포항공대 총장
"폴리매스형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미네르바스쿨 #mooc #코딩교육

어떤 전공을 선택하는 게 유리할까?
어차피 모든 분야는 융합으로 간다. 무엇을 먼저 시작했든 간에 결국 다른 걸 계속 배워서 융합시켜야 한다. 그러니 첫 번째 전공 선택에 너무 큰 의미를 두지 말라.
프로페셔널 스튜던트로 살아가는 시대에는 첫 직장도 그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유리한 곳을 선택해야 한다.
어떤 직업을 갖든 STEM (Science,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을 공부한 이들에게 기회가 더 많아진다. #STEM 과학,기술,공학,수학

"2030년에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사람은 평생 8~10개 직업을 바꿔가며 일하게 될 것이다.-토머스 프레이"
직장이 아니라 직업이다. 2~5년에 한 개꼴로 직업을 바꾼다는 얘기다.


《Part 3. 프로페셔널 스튜던트에게 직업,직장이란?》

배운 것만 실행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라, 이제 모르는 것도 필요하다면 실시간으로 배워가며 실행하는 시대다. 이게 바로 프로페셔널 스튜던트의 핵심이다.
우린 익숙한 답이 아니라, 더 나은 답을 자꾸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진화이고 성장이다.
계속 공부하는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도전하게 되고, 그 도전이 기회를 만들어준다. 40대뿐 아니라 50대도 능력만 있다면 스타트업에 도전해야 한다.
자신이 쌓아온 경력과 경험이 있고, 아울러 계속 공부하는 프로페셔널 스튜던트라면 취업보다는 창업이 미래를 만드는 최선의 길이다.


조직 문화에서 수평화,에자일이 선택되는 것도 결국 유능한 인재 중심으로 조직을 운영하기 위해서다.





《Part 4. 프로페셔널 스튜던트를 의한 진짜 공부는 무엇일까?》
이 책에서 제시하는 필수 공부는
1.테크놀로지 Technology
2.돈 Money
3.트렌드 Trend
4.예술 Art
5.생존력 Survival 이다.
이들은 계속 공부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는 지식이자 지속적 업데이트가 필요한 스킬이다.

#지식노동자 #지식사회
피터 드러커는 3년마다 한 가지 분야를 선택해 집중적으로 공부했다. (경영학,경제학,사회학,정치학,통계학,소설,아시아 역사,미술 등 평생 16개가 넘는 분야를 연구했다 함)

기본 소득과 로봇세


질문이 창조의 시작이다.
질문의 싹을 자르면, 호기심과 문제의식도 같이 싹이 잘려나간다.
디지털 시대엔 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 즉 디지털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이 필수다.
코딩을 통해 어떤 직업이든 그 가치와 전문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겁 없는 자가 이긴다'. 가진 게 없는 사람이라면 겁 없이 덤벼야 이길수 있다.
생존은 행동의 문제다.
생존력 공부의 핵심은 실행력을 키우는 것이다.
멈춰 있는 자는 성장할 수 없고,성장할 수 없는 자의 미래는 불안해지기만 한다.

728x90
반응형
LIST